단독/빌라 읽기

고급주택, 물량 적어 가격 상승 릴레이…나인원 한남 등 고급주택 공급 필요한 이유

작성자: 부동산경제    작성일시: 작성일2018-05-25 10:01:03   

고급주택, 물량 적어 가격 상승 릴레이…나인원 한남 등 고급주택 공급 필요한 이유


940d5629aff068f4e08056ffdee1b3c1_1527210046_34.jpg

-공시가격 100억원 초과 단독주택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성수동 갤러리아 포레 전용 217.86㎡형, 올 2월 48억원에 거래되며 최고점 찍어 
-고급주택 수요 커지며 ‘나인원 한남’ 공급 높은 관심 

소득 증가에 따른 고급 주택 수요층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신규 주택 분양시장이 서민주택 위주로 형성되면서 고급주택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아파트 공급원인 공공택지 개발을 비롯해 정부의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밝힌 서민주택 100만호 건설까지 전용 85㎡이하 서민주택 위주로 공급계획이 빼곡히 차 있어 고급주택 공급이 원천적으로 막혀 있기 때문이다. 

일반분양을 통해 입주자를 모집한 고가주택은 최근 3년 사이(2015.1~2017.12) 단 한 곳에 불과했다. 작년 8월 서울 성수동에 분양한 주상복합 단지인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는 30억원이 넘는 가구수는 119가구뿐이었다. 3년간 서울의 일반분양 가구수가 4만1644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극소수 물량인 셈이다. 

이처럼 고가주택의 신규공급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가격 상승 또한 가파르다. 서울시가 지난 4월 공개한 2019년 개별주택 공시가격 조사에서 공시가격이 100억원을 초과하는 단독주택은 전년도 8개 가구에서 21개 가구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100억원 초과 상위 10개 가구의 평균 상승률은 13.12%로 서울시 전체 개별주택 상승률(7.32%)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량만 놓고 봤을 때도 2017년 서울에서 30억 이상 고가 아파트 매매건수는 320건으로 2013년 44건과 비교해 7배나 증가해 ‘그들만의 리그’라고 일컫는 초고가 시장의 수요가 건재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성동구 성수동 갤러리아 포레 전용면적 217.86㎡형은 2016년 8월 43억5000만원(36층)에서 1년 후인 2017년 8월 45억원(40층)에 거래되었으며, 올 2월에는 48억원(36층)에 거래가 이뤄지며 최고점을 찍었다. 또, 삼성동 아이파크는 전용면적 167㎡형이 2016년 11월 34억5000만원(43층)에 거래됐으며 지난해 10월에는 최고 37억원(46층)으로 거래된 바 있다. 

또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한남더힐’은 새 아파트는 아니지만 고급주택의 희소성으로 인기가 높다. 지난해에는 전용면적 244.78㎡형이 78억원에 실거래가 최고 신고액으로 올랐으며 이보다 앞선 2016년에는 244.75㎡가 82억원에 실거래 신고되었다. 

이처럼 고급주택 시장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공급물량을 풀어 수요를 충족시켜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분양가 제한이나 청약제도 강화 아래 최고급 주택이 나오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고급주택을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 리치들이 좋아하는 고가주택의 경우 도심에 위치해 있어 토지 매입가격 자체가 높고 고가의 마감재를 써 분양가가 비싸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인 데도 불구하고 분양가를 비롯한 각종 규제를 피할 수 없어 소규모 단위로 개발하는 사례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청담동에서 8년 전인 2007년 분양한 ‘마크힐스2차’의 경우 이미 3.3㎡당 평균 8200만원을 넘는 분양가로 공급된 바 있다. 현대건설이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짓는 고급 빌라 ‘더 펜트하우스 청담’분양가는 최고층 펜트하우스가 200억원대, 다른 층이 80억~140억원으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외인아파트 부지에 조성되는 ‘나인원 한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고 9층짜리 최고급 주택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시행사인 디에스한남이 분양을 준비 중이다. 

업계관계자는 “자동차에서도 실용적인 경차가 필요한 수요층부터 명품카가 필요한 계층이 따로 있고, 명품카를 비싸게 판다고 해서 전체 자동차 가격이 올라가지 않는 것처럼 주택시장도 고급주택 공급활성화로 인해 전체 집값이 올라가진 않는다”며 “일부 투기세력을 잡기 위한 단기적 정책집행도 중요하지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급주택을 늘려야만 전체적인 집값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서민주택은 공공부문에서 공급을 관리를 해야 하며 고급주택은 민간부문의 사업을 적극 지원해 공급시장을 안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